2025년 기준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원은 평생 2개까지 가능하며, 본인부담률은 일반 가입자 약 30%, 의료급여 수급자는 10~20%로 낮습니다. 비급여 항목은 전액 부담되니, 꼭 가까운 치과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상담 후 신청하세요.
건강보험은 강제 가입이 원칙이기 때문에 65세 이상이고 치아가 1개라도 남아 있는 분이시라면 임플란트 시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상담 후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65세 이상 임플란트 국가지원 제도
- 지원 대상: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지원 범위: 부분 무치악 환자, 평생 최대 2개까지 지원 (완전 무치악 환자는 대상이 아님)
- 지원 재료: PFM 보철물만 급여 적용, 지르코니아·골드 등은 비급여 (뼈이식의 경우 추가 비용 발생)
본인부담금 구조와 실제 비용
건강보험 적용 임플란트 1개당 총시술비는 약 100~150만 원 수준입니다. 이중 본인 부담금 30%를 적용하면 임플란트 기준 본인 부담금은 약 30~45만 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2개를 시술하시면 금액은 2배가 됩니다.
- 일반 가입자: 약 30% 부담 → 1개당 약 35~45만 원
- 의료급여 수급자 1종: 약 10% 부담 → 12~15만 원
- 의료급여 수급자 2종: 약 20% 부담 → 24~30만 원
- 비급여 재료: 전액 본인 부담 (지르코니아·뼈이식 등)
조건 및 주의사항
- 무치악(치아가 하나도 없는 경우)은 지원 불가
- 평생 2개를 초과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하는 경우 전액 본인 부담
- 추가 뼈이식, 상악동거상술 등은 급여 적용 제외
- 비급여 재료 선택 시 추가 비용 발생: 특정 재료(예: 지르코니아 크라운 등)나 시술 방식(예: 즉시 임플란트 등)에 따라 비급여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분 | 건강보험 적용 전(비급여) | 건강보험 적용 후 본인부담금 | 비고 |
---|---|---|---|
일반 가입자 | 120~150만 원 | 약 35~45만 원 (30%) | 평생 2개 한도 |
의료급여 수급자1종 | 120~150만 원 | 약 12~15만 원 (10%) | 평생 2개 한도 |
의료급여 수급자2종 | 120~150만 원 | 약 24~30만 원 (20%) | 평생 2개 한도 |
비급여 재료 | 150만 원 이상 | 전액 본인 부담 | 급여 적용 불가 |
추가 시술 | 30~200만 원 | 전액 본인 부담 | 상황별 상이 |
신청 절차 및 팁
- 가까운 치과 상담 → 대상 여부 확인
- 치과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록
- 승인 후 시술 진행
- 필요시 시군구청 통해 추가 행정 절차
일부 지자체는 추가 지원 제도를 운영하므로 지역별 확인 필수
65세 이상 임플란트 국가지원금 제도
2025년 기준, 65세 이상 임플란트 국가지원금 제도는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 어르신들의 구강 건강을 지킬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 일반 가입자는 약 40만 원 선에서 치료 가능
- 의료급여 수급자는 10만 원대까지 부담 경감
- 다만, 비급여 항목과 추가 시술은 전액 본인 부담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가까운 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치과 병원에 문의하여 지원 자격을 확인하고,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